내 집이 무량판 구조인지 확인하는 방법

  무량판

얼마전에 입주한 우리집.

요즘 무너진 그 구조, 무량판 구조 아니야 혹시?

간단히 조회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공공기관 시행 아파트들의 조사가 끝나고, 생각보다 더 많은 아파트가 무량판구조임에도 설계누락에 시공누락, 홍역을 치루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난 어찌저찌 청약점수모아, 모으고 모아 겨우 내집마련했는데, 그 집이 한두푼도 아닌 몇억짜리 내 집인데

선분양인것도 스트레스 받는데, 제대로 지어지지 않아 무너질까 걱정하는것도 스트레스구요.

구조를 봐도 긴가민가.. 간단히 무량판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국가공간정보포털에 들어갑니다.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4074#none

무량판

아파트 구조를 파악하는 가장 대중적인 방법입니다.

‘부동산정보통합열람’을 클릭해 주소를 입력 후 해당 아파트를 클릭합니다.

아파트의 종류는 벽식,기둥식,무량판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후 아파트 주소를 입력 후 해당 아파트를 클릭합니다. 주 구조가 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벽식구조, 평슬래브, 내력벽식 등으로 나타나면 벽식 구조입니다.

다만 벽식 구조는 구분 방법이 명확하지만, 무량판식과 기둥식은 ‘철골철근콘크리트’라고 표시되기에 명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무량판

철근콘크리트벽식구조로 써있는 아파트

무량판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써있는 오피스텔

평면도를 보는 방법

무량판

출처: MBN뉴스

다음은 네이버 부동산에 있는 평면도를 보는 방식입니다.

비교적 보기 간단하죠?

경기 구리시에서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이모(57)씨는 무량판과 기둥식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포털사이트 부동산 홈페이지이 평면도를 참고하라고 했습니다.

부산의 한 건축사무소 관계자는 이 평면도를 보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습니다.

“평면도에 아무 것도 없으면 벽식 구조, 빈 사각형 안에 X표시가 있으면 기둥식 구조, 회색 음영의 사각형이 모이면 무량판식 구조”입니다.

주거동은 그렇다 치고, 지하주차장이 무량판시공이라면?

무량판

출처:현대건설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둥식과 무량판구조의 차이점은 기둥간의 보가 없다는것 입니다.

무량판

이 사진을 보시면 기둥간의 보가 존재하죠?

무량판

이런식의 주차장은 무량판입니다.

맺으며

지금 입주하고 살고있는 집에대해 무량판이니, 벽식이니 따지는건 지금에 와서는 무슨소용이냐.. 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닙니다.

건설산업기본법 제28조 1항 내지 2항에 따르면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골구조는 10년의 하자보수 기간을 지니고 있습니다.

살고있는 주택이 문제가있다면 시공사와 회의를 통해 보강공사를 진행하면 됩니다.

무량판

답글 남기기